호손효과(Hawthorne Effect)란?

호손효과 (Hawthorne Effect)란?  호손효과(Hawthorne Effect)는 조직관리론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조직관리론의 양대 부류 중 과학적 관리론과 상반되는 인간관계론의 대표적인 이론입니다. 과학적 관리론이 능률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인간의 사회. 심리적 측면을 도외시하고 인간을 기계적인 도구로 생각하게 되어 이를 반성, 비판하면서 등장한 것이 인간관계론입니다. 엘튼 메이요(미국 하버드대 교수로 사회요소 및 산업관계분야에서 활동)라는 사람이 여러 가지 작업조건으로 작업집단의 태도와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1924년부터 1932년까지 미국 일리노이 주에 있는 시카고 교외의 웨스턴 일렉트릭 회사소속 호손공장에서 실험을 한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호손 실험의 결과는 기업생산성을 결정하는 조건으로 기존에 조직관리의 주류였던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을 부정하고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처음으로 부각시킨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때까지는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의 원칙 - 예를 들면 적정 노동표준시간의 설정 등 작업환경의 개선 등 - 이 자원투입의 절약과 작업의 능률성 향상을 가져온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당시 조직론에서는 인간을 하나의 생산도구로만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 실험을 통해 인간을 생산활동도구가 아닌 생산활동의 주체로 인식해서 인간적 만족감을 느낄 때 생산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고 스스로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의욕을 갖는다고 인식되어 임금이나 작업조건은 이와 비교해 덜 중요하게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지금 기억나는 대표적 실험은 조명실험인 기존의 이론에선 조명의 밝기 조절을 통한 것이었는데, 부연하자면 너무 길어서 생략하겠습니다. 결론은 '호손효과란 외부적 환경변화 뿐만 아니라 조직 내부의 인간관계가 좋으면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것입니다. 조직 내부에 친목단체 등 비공식 조직이 존재하여 조직원간 단합이 잘 되고 의사소통이 활발해 진다면 작업의 능률이 오른다는 것은 당연한 것 같지만 그 당시에는 획기적인 이론이었죠. 이 시대의 당연한 ...

이스터에그란? 재미있는 선물이 숨어있어요~

이스터 에그란 무엇인가~!? 이스터 에그 (영어: Easter egg)는 영화, 책, CD, DVD, 소프트웨어, 비디오 게임 등에 숨겨진 메시지나 기능을 뜻합니다. 이스터 에그라는 이름은 서양권에서 부활절에 달걀을 미리 집안이나 정원에 숨겨두고 아이들에게 부활절 토끼가 숨겨놓은 달걀을 찾도록 하는 부활절 달걀 찾기 풍습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요, 때로는 놀라움과 재미를 주기 위해서 생달걀을 숨겨두는 장난을 쳤다고 합니다. 요즘에는 이스터 에그가 좀 더 일반화되어 프로그램을 만들 때 프로그램 작성자가 몰래 프로그램 안에 숨겨 놓은 여러 가지 재미있는 기능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불필요한 동작을 반복하면 화면에 나타나는데, 괴이한 문구나 자신의 약력, 조롱, 익살 등의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최초의 이스터 에그는 1978년에 발매된 아타리 2600용 비디오 게임 Adventure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스터 에그는 보통 개발자의 이름이나 사진 등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이스터 에그를 광고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DVD 타이틀 이스터 에그로서 자사에서 출시 예정인 영화의 예고편을 넣는 경우입니다. 파이란의 경우 2009 로스트 메모리즈 예고편을, DVD2.0 부록에서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 예고편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한글 2002의 경우 한글 2002의 대표적인 기능인 되돌리기, 한컴 사전, 다양한 글꼴 지원를 입력하면 해당 광고를 볼 수 있다고 하네요. 또한 이벤트로 이스터 에그를 찾으면 경품을 주는 경우도 있다.

다이어트 한 달 맞춤 계획(diet in 31 days)

이미지
‘한 달 맞춤 다이어트’ 플랜은 한 달 안에 다이어트를 마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그날 정해진 다이어트 룰은 반드시 지키고, 유형별 다이어트 지침을 어기지 않는다면 짧은 시간 안에 멋진 몸매의 소유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DAY 1   먹은 것을 기록하자 펜은 포크보다 강한 법. “식사 일기를 쓰면 하루 종일 자신이 뭘 먹는지 좀더 신경 쓸 수 있게 됩니다.” 휴스턴 베일러 의대의 존 P. 포레이트 박사가 말한다. 첫날부터 다이어트 마지막 날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식사 일기를 쓸 것. DAY 2   아침을 든든하게 먹자 둘째 날부터는 아침을 조금 더 든든하게 먹자. 아침 식사를 하면 우리 몸 안의 열량 소모 시스템이 깨어나고 하루 종일 식욕을 조절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게 포레이트 박사의 설명. 예를 들어, 평소에 토스트 한 조각으로 아침을 대신했다면 삶은 달걀과 저지방 요거트를 더해줄 것. 적어도 아침은 200kcal 정도 섭취하는 것이 적당하다. “배고프지 않더라도 일어난 다음 1~2시간 후에는 뭔가를 먹는 게 좋아요.” <다이어트 심플(Diet Simple)>의 저자 캐서린 탈마지의 설명이다. DAY 3   단백질 섭취를 늘리자 다이어트 셋째 날부터는 식사 시 단백질의 섭취를 늘려야 한다. 단백질은 탄수화물과 지방에 비해 훨씬 더 높은 포만감을 준다. 배고픔을 막기 위해서는 매 끼니마다 체중 1kg당 단백질 1~1.25g을 섭취하자(체중이 63kg인 걸의 경우 매일 70g 정도의 단백질을 먹으면 된다). 구운 닭고기 90g에는 26g의 단백질이, 연어 90g에는 21g, 검은 콩 1컵에는 15g이 함유되어 있다. DAY 4   쇼핑은 준비성 있게 하자 오늘부터 일주일에 한 번은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직접 마켓에서 장을 보도록 한다. 슈퍼마켓의 청과물 코너에 들러 일주일간 먹을 신선한 식품을 사도록 하자. 신선한 과일, 채소, 견과류, 여기에 주식으로 먹을 수 있는 현미나 껍질을 벗긴 닭 가슴살, 올리브유 등...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란?

기상관측한 데이터를 통해 처음 이야기된 효과로, 어떤 일이 시작될 때 있었던 아주 작은 양의 차이가 결과에서는 매우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 개념은 후에 카오스 이론의 토대가 되었다.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N. 로렌츠가 처음으로 발표한 이론. 중국 베이징[北京]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다음 달 미국 뉴욕에서 폭풍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과학이론이다. 나중에 카오스 이론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반적으로는 작고 사소한 사건 하나가 나중에 커다란 효과를 가져온다는 의미로 쓰인다. 이 이론은 로렌츠가 〈결정론적인 비주기적 유동 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결정론적 카오스(Deterministic Chaos)의 개념을 일깨운 새로운 유형의 과학 이론이었다. 로렌츠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기상현상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초기 조건의 미세한 차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점 커져서 결국 그 결과에 엄청나게 큰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브라질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미국 텍사스에 토네이도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가령 1930년대의 대공황이 미국의 어느 시골 은행의 부도로부터 시작되었다고 본다면, 이것은 나비효과의 한 예가 되는 것이다. 또한 1달 후나 1년 후의 정확한 기상예보가 불가능하듯이 주식이나 경기의 장기적인 예측이 불가능한 것도 이러한 나비효과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E. Lorentz)가 1961년 기상관측을 하다가 생각해낸 이 원리는 훗날 물리학에서 말하는 카오스 이론(Chaos Theory)의 토대가 되었다. 변화무쌍한 날씨의 예측이 힘든 이유를, 지구상 어디에서인가 일어난 조그만 변화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날씨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으로 설명한 것이다. 처음에 이 현상을 설명할 때는 나비가 아닌 갈매기가 사용되었지만, 이후에는 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갈매기를 나비로 바꾸었다. 이 가상의 현상은 기존의 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

스톡데일 패러독스(Stockdale’s Paradox)란.....? 낙관주의자가 먼저 죽는다?

스톡데일 패러독스  (Stockdale’s Paradox)   베트남 전쟁이 한창일 때 ‘하노이 힐턴’ 전쟁포로 수용소의 미군 최고위 장교이던 짐 스톡데일(Jim Stockdale) 장군의 이름에서 유래된 말 결국 성공할 것이라는 믿음과 눈앞의 냉혹한 현실을 혼동해서는 안된다. 생명 자체가 자연의 균형과 안정이라는 거대한 힘과 끊임없이 투쟁하듯, 개인과 조직 역시 안정과 끊임없이 싸워야만 살아 남을 수 있다. 변하지 않는 개인이나 조직은 죽어갈 수 밖에 없다. 이는 암울해 보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동시에, 끊임없는 변화는 끊임없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긍정적인 면을 암시해 준다. 스톡데일은 베트남 포로 수용소에서 8년간 고문을 받으면서도 많은 미군 포로를 고향으로 도아가게 만든 전쟁영웅. 스톡데일에 따르면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낙관주의자'가 아니라 '현실주의자' 였다. 낙관주의자들은 다가오는 크리스마스에는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스스로 희망을 불어넣었다. 크리스마스가 지나면 부활절에는 나갈 수 있을 거이라고 기대하는 일을 반복하다 결국 상심해 죽었다. 반면 현실주의자들은 크리스마스 때까지는 나가지 못할 것이라고 각오하면서 이에 대비해 살아남았다. 스톡데일은 1965년부터 1973년까지 8년간 수용소에 갇혀 있는 동안에 20여 차례의 고문을 당하면서 전쟁포로의 권리도 보장 받지 못하고 정해진 석방일자도 없고 심지어는 살아 남아 가족들을 다시 볼 수 있을지조차 불확실한 상태로 전쟁을 견뎌 냈다. 그는 수용소 내의 통솔책임을 떠맡아 자신을 체포한 사람들과 포로들을 선전에 이용하려는 그들의 시도에 맞서 싸우며 가능한 한 많은 포로들이 큰 부상 없이 살아 남을 수 있는 조건을 만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뭐든지 했다. 한 번은 자신이 ‘훌륭한 대우를 받는 포로’의 사례로 비디오 테이프에 찍히는 걸 피하기 위해 의자로 자신을 내리치고 면도날로 자신을 베는 등 고의로 자해를 하...

외국인이 본 한국 드라마의 특징.

50 things you can learn from a korean drama 한국 드라마를 보면서 배울 수 있는 것 50가지 1) Hot, rich, younger men love fat, older vulgar women. 잘 생기고 돈 많은 젊은 남성들은 살 찌고 막말하는 연상녀들과 사랑에 빠진다. 2) If you have a best guy friend, he is in love with you. And secretly you are too. 베프인 남자애가 있다면 그는 사실 비밀리에 너를 좋아하고 있다. 그리고 사실 너도 걔를 좋아하고 있다. (모르고 있을 뿐...) 3) You and your boyfriend will always playfully chase each other on an ice rink, at the beach, or in the leaves. And you'll laugh for no reason and your boyfriend will hit you "playfully" but the force of his push will have you flying across the room. But it's okay. Cuz you're still laughing like a crazy person. 너와 남친은 아이스링크/해변가/숲에서 장난스럽게 '나잡아봐라' 놀이를 할 것이다. 너는 이유없이 웃고 남친은 너를 '장난스럽게' 확 밀어버릴 것이다. 너는 여전히 미친년처럼 웃고 있지만 어느새 저 반대편으로 날라가고 있다. 4) Brothers/cousin/uncles-nephews will always love the same girl. 형제/사촌/삼촌-조카 지간 남자들은 항상 같은 여자를 사랑하게 된다. 5) You're allowed to make uturns wherever you want in Korea. And there is never traffic...

(동물과 대화) 견들을 위한 주의점 14가지(스압)

견과 함께 생활하면서 주의 해야할 점들을 나열해 본다. 물론 본 내용들은 그들과 대화를 토대로 우선  단적인 것만 기록한다. 내가 이곳에 견에게 주의 할점만도 끊지않고 계속 작성하라면 책 몇권 나올 판이다.. 곧 다른 동물들도 올리도록 하겠다. "갑자기 우리 착한견이 화를 내고 이상해 졌어요.." 갑자기 그런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참다가 폭발한 것이다. 아래를 보자.. 1."내가 짖을때는 멈추게 무작정 멈추게 하지마세요.한번이라도 창문밖이나 현관문을 열어보세요" 그들이 짖을때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그들이 짖는 행동은 일이다.평생 해야할 천직중에 천직이다. 잘한다고 칭찬하지는 못할 망정.. 다짜고짜 나무라는 것은 결코 좋지 못하다. 만약 당신이 당신의 견과 위험한 산중에 둘만 살고 있다면 그들의 짖는 행동이 얼마나 고마운지  눈물겹에 느낄 것이다. 단지 당신은 편안한 집에서 생활하고 현관.창문을 잠그면 그다지 위험성을 못 느끼기 때문에 짖음이 소음이 되고 듣기 싫을뿐이다.그들은 창문과 현관문이 잠기면 침입을 쉽게 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짖는다는 생각을 해본적은 없는가? 생각의 차이다.  본 게시판 69번글 참고하고 이미지로 설명 해주라 그것이 굳이 싫다면 또박또박 천천히 말하라 "나도 밖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고 있다..그러니 네가 굳이 이렇게 까지 짖지 않아도 된다. 이집은 내가 누구도 들어오지 못하게 해두었다.너도 힘들테니 이제 좀 쉬어라" ->이것이 과연 효과가 있을까? 짧게 답변하면 "있다" 단, 바닥에 업드려 견의 눈을 보고 차분히 또박또박 얘기를 한다. 시간날때 마다 이런 얘기를 해주라 단, 말하면서 이미지를 상상하라 밀폐된 집+아무도 들어올수 없는 우리들만의 공간 이미지  견 행동에 변화가 올것이다. 2.코와 귀를 만지지 말라. 그들은 이것을 이용해서 주로 살아가는 동물이다. 이것은 그들의 레이다망 이다. 레이다망을 건들지 말라. 이것을 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