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011의 게시물 표시

구글이 개발한 풍력 비행 발전기 마카니(Makani)

이미지
구글은 검색 엔진으로 시작한 회사고 아직도 대부분의 수익이 검색 광고를 통해서 벌기 때문에 광고 회사라는 비아냥도 있지만 구글 본인들은 자신들을 스스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라는 스마트폰 운영체제도 만들고 최근에는 무인 자동차 사업도 꾸준하게 발전 시키고 있습니다.  해저 광케이블 사업도 하고 태양광 사업도 하고 있습니다. 최첨단 기술에는 다 관심을 보이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구글이 최근에 비행 풍력 발전기 마카니(Makani)를 선보였습니다.  풍력  비행 발전기 마카니(Makani) 구글에는 Google X라는 미래 기술을 선보이는 프로젝트 팀이 있습니다. 여기서 나온 제품은 구글 글래스나 구글 무인 자동차 등이 있죠. 이 Google X에서 풍력 비행 발전기 마카니를 선보였습니다. 독자 기술은 아니고 2013년에 1,500만 달러(한화 약 176억원)을 주고 신재생 에너지 기업인 Makani를 인수해서 계승 발전 시키고 있습니다.  이 마카니는 아주 독특한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풍력 발전을 하는 기술인데 거대한 프로펠러가 돌아가는 그런 풍력 발전이 아닌 연과 같이 무인 항공기를 공중에 띄워서 풍력으로 발전을 하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생긴 것이 비행기처럼 생겼습니다. 그러나 발전을 하기 위해서 날개에 프로펠러가 무려 8개나 장착이 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8개의 프로펠러로 하늘에 올라간 뒤에 자유 비행은 아니고 끈에 묶어서 원 형태의 비행을 끊임 없이 하면서 프로펠러를 돌리는 힘을 전기로 만들어서 끈을 통해서 전기를 전송합니다.  아주 독특한 개념인데 이 비행체는 어떻게 이륙과 착륙을 할까요? 이륙은 헬기처럼 90도로 세운 후에 프로펠러 힘으로 상승을 합니다. 그리고 서서히 날개 각도를 돌려서 비행기처럼 날개의 양력을 이용해서 적은 힘으로 빙빙 돌게 되죠. 착륙은 반대로 날개 각도를 줄여서 헬기처럼 착륙을 합니다. 거치 차량에 안착하게 되는데 아직 ...

스펀지, 공부 잘 하는 법 5탄 - 집행력

공부 잘하는 법 5탄 <집행력>  ▶ 한 번에 많은 일들이 일어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힘들다면? 집행력이 좋은 사람들은 한 번에 많은 과제가 주어지더라도 체계적으로 일을 잘 처리한다. - 집행력이란? 집행력이 좋지 않을 경우, 계획 없이 충동적으로 물건을 구매하게 된다. 또한 물건을 살 때 분류된 물건을 찾지 못해 오랜 시간이 걸린다. 다이어트 계획을 세우고도 번번이 실패한다. 집행력 향상 트레이닝 비법은 1883년 프랑스 수학자 루카스가 처음으로 고안한 퍼즐로 8개의 원판과 세 개의 기둥으로 조합되어 있는 하노이 탑! - 트레이닝의 방법 하노이 탑의 한 쪽 기둥에 있는 원판들을 한 번에 하나씩 이동시켜 다른 쪽 기둥으로 모두 옮기면 된다! 주의할 점! 원판은 한 번에 하나씩 만 옮겨야 하며 큰 원판이 작은 원판 위에 올려져 있으면 안 된다! 집에서 간단하게 하노이 탑을 만드는 방법! 종이와 펜! 그리고 크기가 다른 동전 여러 개만 있으면 된다.

동영상 정보를 한 눈에 보여주는 프로그램

동영상 정보를 한눈에 - VideoInspector 각종 동영상의 영상 및 음성의 상세 정보를 표시해주는 VideoInspector입니다. DVD의 등장으로 인해 고해상도 고품질의 미디어가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고품질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큰 손실없이 컴퓨터에서 재생가능한 파일로 변환하기위한 여러가지 방법들도 같이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DivX 및 XviD와 같은 공개 코덱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코덱들으로 변환한 동영상 파일들은 대개 이전의 무압축 디지털 비디오 파일인 AVI라는 확장자를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주요 용도의 하나로 각종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을 감상하는 멀티미디어 재생 도구로서의 용도가 포함됨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필수 설치 프로그램의 하나로 각종 동영상 및 오디오 파일 재생을 위한 코덱을 묶어놓은 코덱 팩(Pack)이 손꼽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코덱 팩을 제때 업데이트 해주지 않으면 금세 일부 동영상들은 재생에 문제가 생기곤 하는데, 그만큼 최근에 들어 수많은 각종 코덱들이 새로 생겨나고 발전해가고 있는 것입니다. VideoInspector는 이러한 AVI 파일에 대한 상세한 코덱 정보와 함께 각종 인코딩 정보등을 알려주며, AVI이외에도 DVD, SVCD 및 VCD 등의 표준 형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MPEG와 애플의 표준 동영상 형식인 퀵타임(*.MOV), 그리고 MKA확장자를 사용하는 공개 영상/음성 압축 형식인 Matroska 등의 상세 정보를 알려주는 도구입니다.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해당 동영상의 인코딩에 사용된 코덱을 알려주며, 영상 및 음성 데이터 각각의 상세 정보를 알려줍니다. 영상의 경우 해상도와 프레임레이트, 비트레이트, 코덱 형식을 알려주며, 음성의 경우 채널 수, 샘플링레이트 및 비트레이트, 코덱의 정보를 알려줍니다. 만일 현재 사용자의 시스템에 적절한 재생을 위한 코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들 코덱을 바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화면 ...

호랑이 울음소리에 오금이 저린 이유를 아세요?

이미지
호랑이는 울음소리만으로 상대를 마비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랑이의 으르렁거리는 소리가 내는 초저주파는 사람의 귀로는 들을 수 없지만 사람이나 동물의 근육을 진동시켜 얼어붙게 만든다는 것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동물커뮤니케이션연구소의 동물음향학자인 엘리자베스 폰 무겐탈러(Elizabeth von Muggenthaler)씨는 지난 7일 미국 음향학회에서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무겐탈러씨는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육식동물 보호구역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리버뱅크스 동물원에 있는 24마리 호랑이를 대상으로 으르렁거리는 소리, 식식거리는 소리 등 호랑이가 내는 모든 소리를 녹음했다. 연구팀은 이 소리들을 분석한 결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인 20㎐∼20,000㎐의 소리와 함께 18㎐ 이하의 초저주파도 있음을 알게 됐다. 소리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더 멀리 전파된다. 그래서 호랑이의 울음소리는 멀리 떨어진 숲에서도 들을 수 있다. 무겐탈러씨는 "실험을 통해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호랑이 울음소리를 들으면 몸이 들썩이며 얼어붙는 듯한 느낌을 갖는 이유가 온몸을 울릴 정도로 커다란 소리와 바로 이런 초저주파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초저주파는 사람에겐 낯설지만 자연계에선 그리 새로운 게 아니다. 발정한 코끼리 암컷이 수컷을 부를 때 내는 소리는 주파수가 너무 낮아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않지만 밀림을 통과해 수km까지 전달된다. 또 고래나 코뿔소도 초저주파를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룡이 초저주파를 냈다는 주장도 있었다. 지난 95년 7,500만 년 전에 살았던 파라사우롤로포스의 화석 볏뼈를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분석해 입체모형을 만든 적이 있다. 이 모형에 공기를 불어넣었더니 트롬본처럼 매우 주파수가 낮은 묵직한 소리가 난 것이다. 무겐탈러씨는 호랑이의 울음소리에 대한 연구가 멸종위기에 빠진 호랑이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길 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