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11의 게시물 표시

알파고를 만든 딥마인드의 데미스 하사비스가 말하는 인공지능

이미지
알파고가 3연승을 했지만 이세돌이 졌다고 하긴 어렸습니다. 이세돌은 사고방식이 다른 이기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세돌이 졌다고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구글이 싼 가격에 홍보를 했다면서 구글을 비난하는 모습까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의 무서움을 깨닫고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은 인공지능 알파고 열풍입니다. 그런데 알파고를 만든 딥마인드의  천재개발자인 데미스 하사비스 에 대한 이야기는 안 보이더군요. 정작 가장 중요시 해야 하는 이야기가 알파고를 만든 '데미스 하사비스'의 이야기가 아닐까요? The Verge 는 이세돌 알파고의 1차전이 끝난 후에 데미스 하사비스와 인터뷰를 했습니다. 그 인터뷰 내용을 소개합니다.  질문 :  어젯밤의 사건을 인공지능의 역사에서 볼 때 어떻게 평가 하십니까? 하사비스  : 바둑은 정보 게임의 최고봉입니다. 체스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바둑 톱 클래스 기사를 이기는 것은 체스 챔피언을 IBM의 딥 블루가 깬 이상의 큰 도전이었습니다. 그러나 알파고가 바둑 톱 클래스 기사를 이겼습니다.  질문  : 알파고의 수에 놀랐나요? 하사비스  : 큰 충격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세돌 9단은 우리보다 더 놀라웠을 것입니다. 그의 표정은 그렇게 보였습니다.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의 왼쪽을 깊숙하게 돌격한 것은 우리에게도 의외의 움직임이었습니다.  질문  : 예상보다 공격적이었다는 소리인가요? 하사비스  :    알파고는 공격적이고 대담했습니다. 이는 이세돌 9단과 비슷합니다. 이세돌 9단은 독창적인 방법으로 싸우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대결 초반은 매우 침착한 대결이어서 바둑판 전체를 사용해서 대국을 펼쳤습니다.  전통적인 컴퓨터는 각 국면에서의 승부에서는 강하지만 대국 전체를 내다 보는 시선은 약합니다 질문  :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결의...

스펀지, 공부 잘 하는 법 8탄 - 입체적 사고

공부 잘하는 법 11탄 < 입체적 사고 > - 입체적 사고란? 퍼즐 맞추기처럼 분리된 조각들로 전체적인 그림을 만드는 능력이나 평면으로 그려진 설계도 그림만을 보고 입체적인 모형을 만드는 능력! 바로 이런 것들을 시공간추론능력, 즉 입체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한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3차원적인 공간 속에서 보고 듣고 만지는 움직임을 통해 공간적인 경험을 하게 되기 때문에 그만큼 시공간 추론능력, 즉 입체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은 우리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특히 공부하는 학생들의 경우, 초등학교 고학년에 올라서면서 언어적인 능력 뿐 만 아니라 입체적 사고가 잘 되는 학생들일수록 다른 학생들보다 학습에 더욱 두각이 나타날 수 있게 되는 중요한 능력이다. - 성냥개비로 도형 만들기 테스트 이 테스트는 정해진 개수의 성냥개비만을 옮겨 제시되는 도형을 만드는 시공간 추론 능력 테스트이다. 반드시 성냥개비가 아니더라도 같은 길이의 젓가락이나 연필 등을 사용해서 똑같은 트레이닝을 할 수 있다. 먼저 만들어진 모형을 보고 제시되는 조건에 따라 모형을 바꿔야하는 테스트이다. 처음부터 무작정 성냥개비를 옮기는 것이 아니라, 성냥개비를 옮기기 전에 자신이 만들어야 할 모형에 대해서 머리 속에 전체적인 이미지를 생각하고 만들면 된다. 즉, 만들어야 할 모형을 입체적으로 사고하여 선과 선의 관계를 미리 파악해서 모양을 구성하면 실패의 과정을 최소화하여 모형을 완성할 수 있다. - 스펀지 공식 트레이닝 입체적 사고를 극복하기 위한 트레이닝은 바로 <소마큐브>라고 불리는 블록이다. 이것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 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퍼즐이나 블록을 이용한 훈련을 통해서도 충분히 입체적 사고가 좋아질 수 있다. 소마큐브는 7개의 조각으로 되어진 3차원 상의 입체 퍼즐이다. 이 7개의 조각들로 정육면체를 만드는 데에도 240가지의 방법이 있을 정도로 소마큐브로는 수천 종류의 기하학적인 모양들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입체감각을 늘리는 가장 좋은...

동영상 재생에 필요한 코덱 모음

코덱박사(CodecBaksa) 슈퍼코덱    [프로그램 설명] 코덱박사는 동영상의 화질향상과 오디오향상의 효과를 극대화 하여 최적의 상태로 설치합니다. CPU를 자동감지 하여 시스템에 최적화된 코덱을 자동설치 하며 누구라도 안정적인 코덱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동일한 재생 디코더가 설치된경우 중복연결을 자동감지하며 동영상의 재생환경을 최적화 하여줍니다.  설치된 필터설정을 이용하시면 제거없이 품질설정,오디오채널 등 주로 사용되는 주요 기능을 쉽게 변경 할 수 있습니다.    [개선 사항]   - FFDshow MPEG-4 rev.1860 (2008/02/15) 교체   - FLV 스플리터 Ver 1.0.0.4 (2008/01/27) 교체   - Koepi's XviD Codec Decoder 1.2 (2008/01/10) 교체   - Gsbest MPEG-1/2 비디오 스플리터 Ver 1.0.0.5 (2008/01/20) 교체   - 미디어 플레이어 클래식 (Version 6.4.9.1 | build 2008/01/27)   - MediaInfo V0.7.5.9 교체   - TS 파일 재생속도 개선 [주요기능]    - DivX 디코더    - Koepi's XviD 코덱   - FFDshow MPEG-4 코덱   - MP4 스플리터    - Gsbest MPEG-1/2 비디오 디코더    - Gsbest MPEG-1/2 비디오 스플리터   - X264 H.264/AVC 코덱   - Matroska 스플리터    - Matroska 멀티플렉서    - FLV 스플리터    - RealMedia 스필리터   - CDDA 리더 필터    - CDXA 리더...

비글 견종소개 및 다양하고 귀여운 비글이들 사진~

이미지
영국의 비글(beagle) 소유주들은 이 개의 기원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기록했는데 그 중 이 비글(beagle)에 가장 정통해 있던 오토 파겟씨의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스의 장군이었던 크세노폰에 의하면 그시대 뛰어난 후각으로 사냥을 하던 하운드종이 있었고 로마인들은 고대 그리스에 맞는 스포츠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로마시대 이전에 영국에서도 하운드종이 있었으며 기록에 따르면 아더왕과 친구사이였던 왕자가 뛰어난 성능을 가진 하얀색의 하운드를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초원에서 그 매력이 배가 되는 비글들 이시대에는 웨일즈 지방이 하운드로 유명하였는데 보통 밝은색의 털을 가지고 있었다. 세터, 스페니얼, 그리고 다른 종의 애호가들은 이 개들의 하운드를 생산하는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생각해보면 틀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하운드는 모든 스포츠견의 시조이기 때문이다. 이 하운드에는 뛰어난 두 종이 있는데 하나는 그레이 하운드로 시각에 의해 사냥을 하고 또한종인 블러드 하운드는 뛰어난 후각으로서 사냥을 한다. 베스 여왕의 전성시대 영국의 모든 사냥꾼들은 몇 종류의 하운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들이 원하던 사냥에 적합한 하운드를 선택하여 사냥을 즐겼다. 이 시대에 여우는 바람직한 사냥감으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이 세대의 하운드는 체격이 큰 것과 작은 것 두 가지 종류로 나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형견인 벅 하운드는 사슴사냥에 이용되었으며 소형견인 비글은 토끼사냥에 이용되었다. 18세기 중엽 젊은 세대에서 여우사냥이 유행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사용되던 폭스하운드는 벅 하운드와 비글사이에서 발전한 것이다. 이 시대 사냥꾼들은 두 종류의 하운드를 새로 탄생시켰는데 하나는 "남부의 하운드"라고 불리는 것으로 체격이 크고 느리며 귀가 길다. 다른 하나는 "북부의 비글"이라고 불렸던 것으로 빠른 반면 체격이 작다. 이 시대의 기록에 의하면 북부의 비글은 빠르고 생기있으며 주인의 명령에 즉각적으로 반응을 ...